2022. 6. 2. 09:27ㆍSQL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테이블의 구조를 미리 설계하는 개념으로
건축시 설계도를 그리는 과정과 비슷하다.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폭포수 모델을 사용하며,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은
폭포수 모델 업무 분석과 시스텐 설계 단계에 해당한다.
이 단계를 거쳐야 데이터베이스 개체인
테이블 구조가 결정된다.
프로젝트 진행 단계
프로젝트 : 현실 세계에서 일어나는 업무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옮겨놓는 과정
= 대규모 소프트웨어를 작성하기 위한 전체 과정
앞서 언급했듯 기본적인 하향식 분석 모델인
폭포수 모델을 예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 계획
무엇을 어떻게 할지 계획
▼
업무 분석
프로젝트 토픽의 사이클, 특성 파악
▼
시스템 설계
정리한 업무 분석을 컴퓨터에
적용시키기 위해 알맞는 형태로 다듬기
▼
프로그램 구현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하는 단계
▼
테스트
오류가 없는지 확인
▼
유지보수
실제로 프로젝트를 시행하면서
문제점 보완, 기능 추가하는 과정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시스템 설계'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 사용되는
사물이나 작업을 DBMS의 데이터베이스
개체로 옮기기 위한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
즉, 현실에서 쓰이는 것을 컴퓨터 내부
테이블이란 객체로 변환하기 위한 작업이다.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에는 좋은 모델링과
나쁜 모델링은 존재하나 정답은 없다.
모델링 자체만으로도 워낙 내용이 많고,
깊이 들어가면 갈수록 어렵기 때문에
이쪽을 좀 더 공부하고 싶다면 전문 서적을
구비하여 더 딥하게 공부를 들어가야 한다.
전체 데이터베이스 구성도
+ (추가)
이름 하나, 주소 하나, 한 칸이 데이터인 건 맞는데
우리가 보통 회원 테이블에서 물어보는 건 회원의 명수다.
즉, 저 테이블에선 '4명이다.'를 답하는 것이 일반적인
데이터 수라고 하므로 행의 개수.
즉, 행 데이터의 수를 데이터 건수라고 기억하자.
기본 키 : 중복 X, 반드시 결측값이 없어야 한다.
The End.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독학] SQL 기본 문법(SELECT ~ FROM ~ WHERE)&연산자 (0) | 2022.06.05 |
---|---|
[SQL 독학] MySQL 데이터베이스 개체(인덱스, 뷰, 스토어드 프로시저) (0) | 2022.06.02 |
[SQL 독학]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0) | 2022.06.02 |
[SQL 독학] MySQL 설치 (0) | 2022.06.01 |
[SQL 독학] 데이터베이스 (0) | 202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