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03 : 스택 (stack)
2022. 9. 22. 08:03ㆍ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굉장히 많이 쓰이는 핵심 자료구조 중
하나로 큐와 마찬가지로 구조와 관련된
간단한 용어를 알고 파이썬으로 직접
구현하는 연습까지 할 수 있으면 좋다.
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다는 점에서 데이터에 제한적으로
접근한 수 있는 구조란 것은 큐와 유사하다.
중요한 점은 가장 나중에 쌓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빼낼 수 있는 데이터 구조란 것이다.
스택 구조
스택은 LIFO 또는 FILO 데이터 관리 방식을 따른다.
책을 가로로 눕혀서 쌓은 것과 같은 상황이다.
맨 위 있는, 즉 가장 나중에 쌓은 책을 먼저 꺼낼 수 밖에 없는 구조.
대표적인 스택 활용 부분은 컴퓨터 내부 프로세스
구조의 함수 동작 방식에 쓰인다.
psuh() : 데이터 스택에 넣기
pop() : 데이터 스택에서 꺼내기
★용어 뜻은 꼭 알아두기
장점
- 구조가 단순해서 구현이 쉽다.
- 데이터 저장 및 읽기 속도가 빠르다.
단점(일반적인 스택 구현 시)
- 데이터 최대 갯수를 미리 정해야 한다.
ㄴ데이터 저장 공간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05 : 시간 복잡도 (time complexity) (0) | 2022.10.03 |
---|---|
자료구조 04 : 링크드 리스트 (linked list) (0) | 2022.10.02 |
자료구조 02 : 큐 (queue) (0) | 2022.09.21 |
자료구조 01 : 배열 (array) (0) | 202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