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05 : 시간 복잡도 (time complexity)
2022. 10. 3. 16:10ㆍ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수학과 같이 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여러가지 알고리즘이 있을 수 있다.
알고리즘 복잡도 표현 방법 : 시간 복잡도★
이때 알고리즘 실행 속도를, 얼마나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인지 측정하는
것이 시간 복잡도 이다.
코딩 문제를 풀다가 나오는 O(n), O(n²)이 한 예이다.
당연히 O(n)이 O(n²)보다 좋은(빠른) 코드이고,
이 시간은 반복문에서 크게 좌지우지된다.
알고리즘 복잡도 표현 방법 : 공간 복잡도
알고리즘이 사용하는 메모리 사이즈를
측정하는 기준이다. 사람이 간단히 계산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에
비해 중요도가 살짝 떨어지는 편이다.
※ k,k'는 상수
무조건 k회 실행하면 O(1),
n에 따라 n번, kn+k' 실행하면 O(n)
n에 따라 n²번, kn²+k'번 실행하면 O(n²)
이라고 표현한다.
만일 2n²+3n과 같이 다항식 형태로
나온다면 n을 무한으로 lim 때리면 된다.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04 : 링크드 리스트 (linked list) (0) | 2022.10.02 |
---|---|
자료구조 03 : 스택 (stack) (0) | 2022.09.22 |
자료구조 02 : 큐 (queue) (0) | 2022.09.21 |
자료구조 01 : 배열 (array) (0) | 2022.09.21 |